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왜 비트코인 투자?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왜 비트코인 투자?

by chatseven 2025. 2. 6.

비트코인 투자할 때 참고하세요.
 
ㅇ 화폐 관점
ㅇ 기축통화국 관점
ㅇ 중국의 성장
ㅇ 인풀레이션이 심한 국가
ㅇ 중국, 러시아 정부
ㅇ 중국, 러시아 부자들

비트코인

 

화폐란?

최초 필요한 물건과 물건을 교환하면서 화폐가 시작되었다.
조개껍질, 돌 등을 화폐로 사용하였다.
아무 조개껍질, 돌을 화폐로 사용한 것은 아니다.
희소한 조개껍질, 돌을 화폐로 사용하였다.
그것을 수집하는 데, 노동력이 투입된다.
그런 과정 후 국가가 공인하는 화폐가 발행되었다.
국가가 화폐를 발행했지만, 국민이 신뢰하지 않으면 
그 화폐는 가치가 없었다.
 
국가 간 거래가 활성화 되면서 
금은이 국가 간 화폐 역할을 하였다.
 
운반이 힘든 금은 대신 '금 1돈=지폐 1' 지폐를 발행하였다.
지폐를 은행 혹은 국가에 주면 금을 받을 수 있었다.
 
전쟁 등으로 화폐를 많이 발행하여 '금1돈=지폐1'이 성립되지 않게 되었다.
더 이상 화폐를 가지고 와도 금을 주지 않게 되었다.
 
정부가 필요하면 더 많은 화폐를 발행 하게 되어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인프레이션이 발생한다.
 
인플레이션에서 자산가치를 지켜야 한다.
 

기축통화 국가

 기축통화국 '미국'은 전세계에 기축통화 '달러'를 공급해야 한다.
강달러를 유지하여 기축통화국 지위를 유지해야 한다.
강달러 정책을 유지하면, 미국의 제조업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
미국의 자동차 사업, 철강사업 등 미국의 제조업은 경쟁력을 잃었다.
 
그 틈새를  중국이 전세계 제조공장의 역햘을 하게 되었다.
엄청난 무역흑자를 기록하면, 엄청난 달러가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중국으로 유입되는 달러는 중국의 인플레이션을 유도한다.
중국은 인플레이션을  막을 수 있는 달러 투자처가 필요했다.
 
반면 제조업의 경쟁력이 떨어진 미국은 매년 적자를 기록했다.
지속적으로 재정적자가 지속적으로 쌓여 달러를 찍어 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냥 달러를 찍을 수 없으니, 국채를 발행한다.
 
중국은 인프레이션을 막고, 지속적으로 미국 수출이 필요한 상황이고,
미국은 국채를 구매해 줄 수요처인 중국이 필요했다.
 
미국, 중국 두 나라는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중국의 성장

처음에는 노동 중심의 상품을 생산한 중국이 이제는
첨단 기술 기반의 상품을 할 수 있다.
 
2차 전지, 전기차 기술은 다른 나라 보다 가격적인 우위를 가졌다.
중국 보조금으로 저렴하다고 하지만, 다른 나라의 경우 보도금을 주어도
중국과 같은 가격 경쟁력을 가지지 못한다.
 
위기의식을 느낀  미국이 중국 견제를 하기 시작했다.


세계정세의 변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미국의 제재로 러시아의 해외자산, 달러는
아무런 가치가 없는 자산이 되었다.
미국이 컨트롤할 수 있는 달러는 더 이상 반미국가인 '러시아, 중국 등'에게는
매력적인 자산이 아니다.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의 BRICS국가 들은 소유 해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는
달러국채에 투자하지 않는다.
 
전통적인 안전자산 '금'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최근 2년 동안 금 가격이 엄청 상승하게 된다.


새로운 화폐의 필요성

미국의 입장
새로운 미국채 수요처가 필요하다.
비트코인의 투자가 왕성하면 스테이블코인의 수요가 증가한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증가하면 미국채수요가 증가한다.
(스테이블코인은 1달러=1 코인, 미국채기반으로 발행)
 
인플레이션이 심한 국가  (엘살바도르, 투르키에 등)
자고 나면, 물가가 오르는 나라 혹은 국민들은 월급을 받는 순간 물건을 사는 것이 유리하다.
저축을 하면 손해를 보는 나라는 저축이 없어 인프라 투자 자본이 없어 
다시 화폐를 찍어 내고, 화폐를 찍어내니 물가가 오르는 악순환 구조에 빠진다.
달러가 부족해서 달러도 국민이 살 수 있는 규모를 제한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자기 자신의 자산을 인플레이션에서 지키기 위해 '비트코인'수요가 발생한다.
 
중국, 러시아 등의 부자들
중국, 러시아의 부자들은 자국 내의 자산을 해외로 옮길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정부의 규제 등으로 해외로 자산을 옮길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강압적인 국가에서 자유로운 국가로 이민은 할 수 있어도 
자산을 옮길 수 있는 방법이 적은 것이다.
국경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자산 '비트코인'의 수요처가 발생하게 된다.
 
중국, 러시아 정부
국경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비트코인이 활성화되면
중국, 러시아의 부가 미국, 유럽 등으로 넘어갈 것 우려하여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거래를 금지시켰다.
 
미국이 비트코인 패권을 가지고 갈 것을 우려하고 있다.
국제 간 거래에 달러를 사용하는 것은 불안하고,
금을 하용하기에는 불편하다.
 
미국을 경계하면서, 국제 간 거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비트코인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